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나 레러/박내선 역] 사랑을 지키는 법(2017)

독서일기/심리뇌과학

by 태즈매니언 2022. 12. 21. 00:23

본문

정인한님이 추천해서 정지우님이 읽고 다시 추천한 덕분에 알게되었습니다. 너무 팔리게 쓴 제목이 미심쩍어서 저자를 검색해보니 조나 레러는 컬럼비아대에서 신경과학을 공부하고 로즈장학금으로 옥스퍼드에서도 공부한 미남으로 첫 책부터 히트를 쳐서 한 때 강연시장에서 날렸고,  유수의 매체에 활발하게 기고도 했다고 합니다.


조나 레러는 저자 서문에서 인정하고 있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모든 명성을 잃고 집에서 어린 딸과 아들을 키운 경험과 뇌심리학에 대한 자신의 지식들을 바탕으로 인간에게 사랑이 왜 중요하고, 사랑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제 주변에서 육아를 하는 부부들을 보면 맞벌이 등의 세세한 조건들을 떠나서 버거워보일 때가 많더군요. 일정한 시기에는 체력, 시간, 금전 모두를 집중적으로 써야하니까요. 저는 구경꾼이지만 이렇게 힘든 육아를 긴 시간 동안 지속할 수 있게 만든 진화적 장치가 어떤 것인지 궁금할 정도로요. 최근의 유배우자비율과 요즘 결혼을 둘러싸고 남성과 여성들 사이에 원색적인 말들이 오가는 걸 보면서 결혼 제도의 지속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의문을 갖게 되었고요.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충분히 사랑을 받았던 경험이나, 남들에게 사랑을 줄 수 있는 능력이 결핍되어 있다는 사실은 뿌듯해할 일도 아니고, 제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도 좋지 않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저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에너지가 빨리는 느낌을 많이 받을 때가 많습니다. ChatGPT같은 새로운 기술들은 계속 나오는 걸 보면 무언가를 알아가는 지적인 효능감도 과연 언제까지 저를 행복하게 해줄지 자신이 없네요. 대신 사람이 아닌 새로운 애착대상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육아에서 애착형성의 중요성과 행복심리학과 관련된 심리학과 뇌과학 연구들을 소개한 앞부분과 에세이의 향기가 짙은 뒷부분이 잘 이어지는 아주 훌륭한 책입니다.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분들에게는 특히 더 도움이 될 것 같고요. 요즘 육아를 하시는 부모님들의 노고 덕분에 지금 아이들이 성인이 된 시기에는 거리에 '화난 얼굴의 한국인'들이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올해의 책 후보로 올려봅니다. 

 

-------------------------------------------

 

69쪽

 

베일런트는 그랜트 연구 대상자들이 80대 후반이 되었을 때(그들 중 거의 절반이 아직 살아있었다),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단 하나의 변수를 확인했다. 그것은 바로 사랑하는 능력이었다. 베일런트는 "나는 나이가 들면 삶은 그동안 사랑했던 사람들의 총합이 된다고 쓴 적이 있다. 여전히 맞는 말이다. 내 믿음은 전보다 더 강해졌다."고 썼다.

 

98쪽

 

아이들만의 독특한 정신세계는  양육자에게 당혹감을 안겨준다. 아이들은 오직 현재만을 생각하며 산다. 미래는 그들에게 의미 없는 추상적 개념일 뿐이다. 아이들이 무모한 쾌락주의자처럼 행동하는 이유도 다 이 때문이다. 
(중략)
아이들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조율의 순간은 어른들이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짧게나마 휴식을 취하고, 삶의 가장 본능적인 즐거움에 몰두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우리는 마침내 그동안 계속 놓치고 살았던 순간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중략)
그렇게 우리의 시간은 흘러갔다. 나는 내가 아이를 돌보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나중에서야 아이가 나를 치료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125쪽

 

과학을 통해 알 수 있는 단 한 가지는 육아란 곧 애착 만들기와 같다는 사실이다. 나머지는 모두 쓸데없는 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결국 아이들은 스스로 많은 것을 배울 것이다. 우리의 몫은 사랑이란 무엇인지, 사랑하기 위해 갖춰야 할 것은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사랑이 희생으로 느껴질 때조차 사랑하는 법을 보여줘야 한다. 사랑이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을 가져갈 때조차 사랑을 통해 얻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191쪽
우리는 사랑을 현재 시제로 생각하지만 감정의 지속은 과거의 잊지 못할 장면, 그 이야기에 달려있다. 애착 형성에는 시간이 걸린다. 함께했던 시간을 되돌아보고, 더 가까워졌던 순간을 회상하는 과정에서 애착이 쌓인다. 두 사람 사이의 친밀감은 함께한 역사가 만드는 것이다. 사랑의 감정은 경험에 대한 기억이기 때문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